[탐방]강화의 역사와 더불어 살아온 호국불교 사찰 ‘강화 전등사(江華 傳燈寺)’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탐방]강화의 역사와 더불어 살아온 호국불교 사찰 ‘강화 전등사(江華 傳燈寺)’

전등사_대웅전_출처강화군청.jpg

<전등사 대웅전 (사진=강화군청)>


‘정족산성(鼎足山城)’ 안에는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했었던 ‘전등사(傳燈寺)’라는 전통 깊은 사찰이 있다. 강화도에서 가장 큰 사찰인 전등사는 서기 381년(고구려 소수림왕 11) 아도화상이라는 승려가 ‘진종사(眞宗寺)’라는 이름 창건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후 1266년(고려 원종7)에 중창했다가 1282년(고려 충렬왕 8) 정화궁주가 이 절에 귀한 옥등을 시주했다해서 전할 전(傳), 등불 등(燈)자를 써서 ‘전등사(傳燈寺)’로 사명(寺名)이 바뀌었다는 설과 진리의 등불은 시공(時空)에 구애됨 없이 꺼지지 않고 전해진다는 불교 본래의 의미로 ‘전등사(傳燈寺)’라 불리게 됐다는 두 가지 설이 전해진다.

 

1605년(조선 선조 38) 화재로 전등사 절반이 소실됐고, 1614년(광해군 6) 12월 1일 화재로 전소된 것을 이듬해 4월에 중창불사(重創佛舍)를 시작해 1621년 윤 2월 7일 지경스님이 중창을 완료하는 상량식(上梁式)을 봉행(奉行)하면서 지금의 모습이 됐다.(대한불교조계종 누리집 참조) 1678년(숙종 4)에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는 사찰로 지정되면서 전등사는 조선왕조와 더욱 깊은 관계가 된다. 1707년 강화유수 황흠(黃欽)은 사각(史閣)을 고쳐 짓고 별관을 지어 ‘취향당(翠香堂)’이라 이름했으며, 이곳을 왕조실록과 왕실의 문서를 보관하는 곳인 보사권봉소(譜史權奉所)로 정한다.

 

또, 1726년(영조 3) 영조대왕이 어필(御筆) ‘취향당(翠香堂)’을 내렸고 1734년에는 사고(史庫) 관리비용으로 ‘선두포’ 답(畓)을 받기도 했다. ‘선두포’는 현재 강화군 길상면 선두리다. 이후 1909년 보관중이던 실록(實錄)을 서울로 옮겨 사고(史庫)로서의 지위를 잃었으나, 강화와 개성의 사찰을 관리하는 본산으로 승격됐다. 전등사로 들어가는 문은 정문인 동문 삼랑성문(三郞城門)과 남문이 있다. 삼랑성문을 들어서면 오른쪽에 병인양요 때 수성(守城)의 공을 세운 조선 말기의 무신인 양헌수(梁憲洙, 1816∼1888) 장군을 기리기 위해 강화 백성들이 세운 승전비가 서 있어 색다른 정서를 보인다.1866년 병인양요 당시 정족산성 외부의 암자와 건물들이 프랑스군의 방화로 인해 사라졌으며, 불상과 법전 등 문화재가 약탈당하기도 했다.

 

전등사_내부_사진.JPG

<전등사 대웅전 내부 (사진=송세용 기자)>

 

대웅전에 들어가 보면 얼핏 낙서처럼 보이는 묵서(墨書)들이 곳곳에 적혀있는데, 그 하나하나가 병인양요 당시 참전했던 조선군 병사들의 이름이다. 병사들 중에는 승군(僧軍) 50명이 전투에 참가해 호국불교(護國佛敎)의 숨결이 살아 있는 사찰이다. 전등사에는 이와 관련해 은행나무와 관련한 설화가 전해지는데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을 펼치던 조선시대에 전등사에도 벼슬아치와 토호들의 토색질이 심했다. 젊은 스님들은 강화성을 쌓는 데 사역을 나가고, 늙은 스님들은 종이를 만들어 바쳐야 했다고 한다.

 

전등사에는 두 그루의 은행나무가 있었는데 매년 조정에 은행알을 진상했다. 그러던 어느 날 관가에서 조정에 진상할 은행알을 크게 늘리겠다면서 20가마니를 요구했으나 은행나무 두 그루에서는 10가마 정도밖에 열리지 않았기에 고심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등사 노스님은 동승(童僧)을 시켜 신통력이 있는 백련사 추송 스님을 모셔오게 했다. 땅거미가 질 무렵 도착한 추송 스님은 모든 대중을 일주문 밖 은행나무 아래로 모이도록 하는 한편, 별좌 스님에게 은행나무 아래에 제단을 마련해 3일 기도를 올릴 준비를 시켰다. 3일 기도가 시작되면서 전등사 안에는 소문을 듣고 구경하러 온 강화도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루었고, 벼슬아치들도 호기심을 갖고 하나둘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때 포졸과 함께 온 군관이 노스님에게 “나라에 공물을 바치기 싫어 상감마마와 백성을 저주하는 기도를 하는 것 아니냐”면서 시비를 걸었으나 노스님은 “진상할 은행이 많이 열리기를 기원할 뿐”이라면서 일축했다. 3일 기도가 막바지에 이르렀을 때 추송 스님은 은행나무를 향해 “오늘 3일기도를 마치며 이 은행나무 2그루가 100년이 지나도 1000년이 지나도 영원히 열매 단 한 알도 맺지 아니하기를 축원하나이다”라는 말과 함께 기도를 끝냈다.

 

많은 이들이 놀라는 가운데 갑자기 하늘이 어두워지고 요란한 천둥번개와 함께 세찬 비바람이 몰아치며 은행나무에서 은행이 모두 떨어졌고, 비바람이 그치고 하늘이 갠 뒤 은행나무쪽을 바라보니 추송 스님과 노승, 동승은 사라지고 없었다고 한다. 이후 은행나무 두 그루는 은행을 맺지 않게 됐고 진상할 은행이 없자 관가의 탄압도 이내 끝냈다고 한다. 국가사적 제130호에 둘러쌓인 전등사에는 ▲대웅보전(보물 제178호) ▲약사전(보물 제179호) ▲범종(보물 제393호) ▲목조석기여래삼불좌상(보물 제1785호)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보물 제1786호) ▲묘법연화경(법화경)목판(보물 제1908호)과 ▲약사전 현왕탱(인천유형문화재 제43호) ▲약사전 후불탱(인천유형문화재 제44호) ▲청동수조(인천유형문화재 제46호) ▲업경대(인천유형문화재 제47호) ▲대웅보전 수미단(인천유형문화재 제48호) ▲약사전 석불좌상 (인천유형문화재 제57호) 등 많은 보물과 유적이 있다.

 

템플스테이1.JPG

<전등사 내부 (사진=송세용 기자)>


▣ 소재지 : (23050)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 (온수리, 전등사)

▣ 입장료/요금 : 어린이-개인1,500 /단체1,000 (단체는 30인 이상), 청소년-개인3,000 /단체 2,500, 어른-개인4,000 /단체 3,500

▣ 개방시간 : 09:00∼18:00

▣ 주차정보 : 대형 50대 주차료 : 대형4,000원, 소형2,000원

▣ 주요시설 : 대웅보전, 약사전, 향로전, 명부전, 삼성각, 대조루, 강설당, 종무소, 범종, 정족산 사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